리얼리뷰/U⁺ 서비스 썸네일형 리스트형 현재 사용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종류 스마트폰을 고를 때 가장 우선시 하는 부분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빠른 스마트폰을 원해서 CPU 성능을 보고 어떤 사람은 화면 크기를 봅니다. 또 어떤 사람은 디자인을 보기도 합니다. 또한, 패널(디스플레이)의 종류를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겉으로 봐서는 다 똑같아 보이지만 고유의 특징이 있는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패널들. 갤럭시S4도 풀HD이고 옵티머스G Pro도 풀HD인데, 그냥 봐서는 차이를 모르겠죠? 하지만 눈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랍니다. 그래서 오늘 U+ 블로그에서는 이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종류와 특징에 대해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1. OLED OLED는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의 약자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약자로 스스로 빛을 내 색을 표현.. 더보기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에 대한 소문과 진실 스마트폰 사용 중에 가장 불만인 부분이 어떤 것일까요? 화면 크기가 작아서? 속도가 느려서? 다 맞는 얘기입니다만 가장 큰 불만은 '배터리 사용량'이 아닐까 합니다. 모바일 기기의 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주범도 '배터리'입니다. 배터리 제조 기술도 발전하고 있지만, 전기를 만드는 기술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요즘 사용하는 배터리는 '이차전지'라 하여 내부에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화학물질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전해질이 양극과 음극을 왔다갔다하며 방전과 충전을 하므로 이차전지는 일차전지와 달리 충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주제인 '스마트폰 배터리에 대한 소문, 허와 실'에서는 이 배터리 관리에 대한 소문을 정리해서 어떤 것이 맞고 틀리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메모리 효과 있.. 더보기 스마트폰 데이터 공유 하는 법, 데이터 쉐어링을 써보세요 모바일 기기의 홍수. 10년 전에는 '1인 1PC'는 기본이고 '1인 2PC'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PC' 대신 '모바일 기기'로 대입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습니다.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디지털카메라' 등 매일 쏟아지는 모바일 기기를 보면 실로 엄청나다는 생각 밖에 들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 모바일 기기 대부분은 네트워크로 연결됩니다. 심지어 '디지털카메라'까지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시대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고민이 하나 있습니다. 와이파이로 연결하면 좋지만 세상 모든 곳에서 와이파이를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결국 LTE로 연결해야 하는데, 그렇다고 태블릿이나 디지털카메라를 위해 추가로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하는 것도 부담스럽습니다. 이런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더보기 스마트폰을 더욱 스마트하게, 핸드폰 주변기기 모음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을 만들면서 IT 시장에 일대 변화가 생겼습니다. '스마트폰'이라는 다소 생소한 휴대폰이 대중화되고 덩달아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를 위협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과 함께 태블릿이 급성장하면서 저가형 PC와 노트북 시장은 축소되고 관련 업체도 가시밭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 시장의 부흥은 관련 액세서리 시장의 성장을 가져왔습니다. 과거 2G 또는 3G 휴대폰에서 액세서리는 말 그대로 휴대폰을 예쁘게 꾸며주는 역할을 했지만, 스마트폰에서 액세서리는 그 의미가 다릅니다. 과거와 달리 스마트폰은 하나의 컴퓨터이고 많은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금의 액세서리는 기능을 더 확장시키거나 사용하기.. 더보기 LG U+ 세계 최초 Single LTE, 100% LTE 선보이다 LTE가 국내에 도입된 지 2년이 지났습니다. 2011년 7월 1일부터 LG U+와 SKT가 시작한 이래 지금은 이동통신 3사 모두 LTE 서비스를 안착하고 LTE 가입자만 2,000만 명이 넘은 명실상부 대표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로 자리를 잡았는데요. 불과 만 2년 만에 LTE 시대에 대격변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바로 진짜 LTE 서비스인 LTE-Advanced(이하 LTE-A)가 시작되려 하기 때문입니다. LTE-A는 기존 LTE에서 사용하던 주파수 대역폭을 2배로 늘려 전송속도도 75Mbps에서 150Mbps로 2배 늘어난 속도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지금의 LTE 서비스는 100% LTE가 아닌 3G와 LTE가 공존하는 형태입니다. 데이터는 LTE 방식이지만, 음성 통화는 3G를 이용하고 있기 때.. 더보기 당신은 무슨 LTE 휴대폰을 쓰시나요? 우리나라 LTE 이용자 중에 열에 여덟 아홉은 갤럭시, 옵티머스, 팬택, 아이폰을 쓰고 계실 겁니다. 모두 100만 원대인 고가 휴대폰이죠. 혹자는 "냉장고를 한 대씩 쥐고 다니는 것과 똑같다"고도 합니다. 그런데 이런 추세가 바뀌고 있습니다. 비싼 고사양 휴대폰 스마트폰의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는 거죠. 반대로 저렴한 보급형 스마트폰이 성장하고 있답니다. 휴대폰 업계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고급형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율은 2009년 대비 2010년 89%로 줄고, 2011년에는 다시 58%로, 지난 해에는 26%로 내리막을 걸었습니다. 반면 저가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율은 2009년 대비 2010년 53%, 2011년 70%, 작년 63%를 기록했습니다. 당장 애플이 하반기 아이폰 생산량을 최대 20%까지 줄.. 더보기 스마트폰 사진보정, 포토원더 사용법 예전에는 사진을 찍은 다음 후 보정하려면 '포토샵'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아시다시피 포토샵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 그 기능은 막강하지만, 전문가가 아니라면 쉽게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셀프' 사진이 인기를 끌고 각종 SNS의 등장으로 후 보정만을 전문으로 해주는 어플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후 보정 어플은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몇 번의 터치만 하면 일명 '뽀샤시' 효과를 줄 수 있고 액세서리를 붙이거나 텍스트틀 추가하는 등 많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후 보정 어플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후 보정 어플은 크게 2종류가 있습니다. 어플에서 바로 사진을 찍고 이어서 후 보정을 해주는 것과 이미 찍은 사진을 불러와 후 보정만을 해주는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 더보기 왜 보조금이 나쁜 건가요? 소비자들은 이득인데 정부를 이해할 수 없네요 "왜 보조금이 나쁜 건가요? 소비자들은 이득인데, 정부를 이해할 수 없네요." LTE-A 스마트폰이 출시 된 이후 보조금 과잉 현상에 대한 기사를 쓰면 꼭 수십 개씩 달리는 댓글입니다. 100만 원짜리 삼성 갤럭시S4 LTE-A를 50만 원에 살 수 있는데 왜 방송통신위원회는 앞장서서 소비자가 싸게 사는 걸 막느냐는 말입니다. 맞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한 번 바꿔서 생각해보세요. 예를 들어 내 친구는 신촌에서 스마트폰을 50만 원 주고 샀는데, 나는 종로에서 80만 원 주고 샀으면 화가 나지 않을까요? 작년 갤럭시S3가 출시 두 달 만에 17만 원으로 떨어지니 제 돈 주고 산 고객이 대리점을 찾아와 난동을 부렸다는 것도 괜한 말이 아닙니다. 수십 만 원 이상 차이 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니 정부 입장에선 .. 더보기 이전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