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Advanced 썸네일형 리스트형 각 통신사 LTE 주파수 대역 및 주파수 경매안에 대해 알아보자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가 주파수 경매 안을 발표한 이후, 이동통신 3사는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관련 업체끼리 알아서 '돈'으로 승부를 보라는 제4안을 채택한 것 때문입니다. 미래부가 확정한 제4안은, 먼저 제시한 제1안과 제3안을 혼합한 것으로 경매에서 가장 많은 돈을 쓴 이동통신사가 원하는 안을 채택하고 거기에서 다시 블록을 입찰하는 방식입니다. '밴드플랜1'과 '밴드플랜2'는 각각 제1안과 제3안과 같습니다. 여기에서 핵심은 'D2'블록입니다. 가장 대역폭이 작은 'D2'블록이 쟁점으로 떠오른 이유는, 바로 옆에 KT의 20MHz LTE 주파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KT가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 'D2'블록을 확보한다면, KT는 CA(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이용하지 않아도 총 35MHz의.. 더보기 6월4주 Weekly IT News - 윈도우8.1 출시일/lte 주파수 경매 외 1. 한국, 스마트폰 보급률 세계 1위 대한민국이 IT 강국이라는 말을 다시 한 번 확인해 주는 기사가 있습니다. 2012년 인구 대비 스마트폰 보급률이 67.6%로 2위 노르웨이 55%를 큰 폭으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고 미국 시장 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스틱스'가 보고했습니다. 참고로, 2011년만 해도 한국은 스마트폰 보급률 38.3%를 기록해 홍콩 46.7%, 스웨덴 39.7%, 싱가포르 38.4%에 이어 4위를 했었습니다. 1년 동안 무려 30% 넘는 증가율을 보인 것인데요, 이처럼 스마트폰 보급률이 큰 폭으로 오른 이유는 'LTE' 전국망이 구축된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68%의 보급률이라면 대한민국 인구를 5,000만으로 계산할 때 3,400만 대라는 계산이 나오는데요, 경제 .. 더보기 주파수가 뭐기에! 주파수 전쟁이 시작된다 지금으로부터 118년 전인 1895년 6월 5일, 이탈리아 블로냐의 한 언덕에서 젊은 물리학자가 금속판을 두드리고 있었습니다. 이 금속판은 유도코일을 통해 공중 선과 연결되어 있었지요. 맞은편 언덕에서 열심히 기기를 조작하던 그의 조수는 순간 벌떡 일어나 허공을 향해 총을 쏘았습니다. 보내온 신호를 잘 받았음을 알리기 위해서였습니다. 인류가 전파로 의사소통을 한 최초의 순간이었습니다.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서 1901년 12월 12일, 마침내 캐나다에서 대서양을 건너 무려 1,600마일이나 떨어진 영국에 전파를 보내는 데 성공합니다. 본격적인 무선통신 상용화의 시작이었죠. 바로 이 과학자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이탈리아 출신의 물리학자인 귈레모 마르코니입니다. 그 후로 단지 푸르렀던 하늘에는 상상도 할 수.. 더보기 진짜 LTE가 온다, LTE Advanced란 무엇인가 이동통신의 3G가 음성통화 품질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었다면 4G의 초점은 데이터 통신에 맞춰졌습니다. LTE(Long Term Evolution)라는 이름으로 선보인 4G 이동통신 기술이 국내에 서비스한 지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벌써 2,000만 가입자를 넘어설 정도로 빠르게 보급 중입니다. 그런데 현재 국내에 적용된 LTE가 완전한 4G가 아닌 미완성의 4G 기술이라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현재도 빠른 데이터 속도로 3G에서 LTE로 바꾼 이용자들은 찬사가 이어지고 있지만, LTE Advanced(LTE 어드밴스드)에서는 이론상으로는 지금의 10배인 최대 750Mbps까지 가능합니다. LTE Advanced가 뭐길래 저런 엄청난 속도로 무선 데이터를 쓸 수 있을까? 이제부터 LTE Advanced에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