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파수

[U+Tech Story] 주파수란 무엇일까? 무선통신에서의 그 역할과 중요성 주파수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모든 무선통신 기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 우리가 듣는 음악, 라디오 방송, 스마트폰 통화, 인터넷 사용 등 다양한 곳에서 주파수가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휴대전화, Wi-Fi, 블루투스 등은 모두 주파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받고 있어요. 주파수가 없다면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답니다. 주파수는 무선통신 분야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요소인 셈이죠. 하지만 그 원리에 대해 자세히 알고 계신 분들은 많지 않을 거예요. 이전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자동차 운전에 빗대어 설명하면서 주파수가 도로의 역할을 한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데이터의 통로 역할을 하는 주파수! 이번 테크스토리에서는 주파수의 기본 개념부터 무선통신에서의 역할까지 쉽게 이해할.. 더보기
[U+Tech Story] 무선통신의 필수! 통신사에게 주파수란? 우리는 매일 휴대폰 메신저로 대화를 나누고, 영상을 보는 등 언제 어디서든 무선통신의 혜택을 누리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혹시 통신사에게 주파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생각해 본 적 있으신가요? 이해를 돕기 위해 무선통신 서비스를 자동차 운전에 빗대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스포츠카를 타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간다고 생각해 보세요. 도로가 좁고 구불구불하다면 차의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제 속도를 낼 수 없겠죠?  반대로 도로가 넓고 쭉 뻗어 있다면 더 빨리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을 겁니다. 여기서 자동차는 데이터를, 자동차의 성능은 무선통신 기술을(5G, LTE 등), 도로는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자동차가 제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도로의 상태가 중요하듯, 무선통신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더보기
주파수가 뭐기에! 주파수 전쟁이 시작된다 지금으로부터 118년 전인 1895년 6월 5일, 이탈리아 블로냐의 한 언덕에서 젊은 물리학자가 금속판을 두드리고 있었습니다. 이 금속판은 유도코일을 통해 공중 선과 연결되어 있었지요. 맞은편 언덕에서 열심히 기기를 조작하던 그의 조수는 순간 벌떡 일어나 허공을 향해 총을 쏘았습니다. 보내온 신호를 잘 받았음을 알리기 위해서였습니다. 인류가 전파로 의사소통을 한 최초의 순간이었습니다.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서 1901년 12월 12일, 마침내 캐나다에서 대서양을 건너 무려 1,600마일이나 떨어진 영국에 전파를 보내는 데 성공합니다. 본격적인 무선통신 상용화의 시작이었죠. 바로 이 과학자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이탈리아 출신의 물리학자인 귈레모 마르코니입니다. 그 후로 단지 푸르렀던 하늘에는 상상도 할 수.. 더보기
황금주파수와 LTE 1990년대 이동통신 보급 시절에는 휴대폰이 잘 '터지는가'가 가장 중요했다. 통신사들은 전국망을 구축하면서 유례없는 커버리지 전쟁을 벌였고, 때문에 '걸면 걸리는' 휴대폰, '짜장면 시키신 분' 찾는 배달원 등 다양한 커버리지 마케팅이 등장했다. 이때'황금주파수'800MHz였다. 저 주파수는 대역 특성상 통신 신호가 먼 곳까지 도달했다. 즉, 800MHz 주파수를 확보한 통신사는 경쟁사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기지국을 설치해도 통화 성공률이 높게 나오는 유리함이 있는 것이다. 2010년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황금주파수의 위치는 급격히 바뀌였다. 음성통화는 사실 트래픽이 극히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통신망에 항상 여유가 있었지만 스마트폰 보급 이후 이동통신망을 무선인터넷 통로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