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리뷰/U⁺ 서비스 썸네일형 리스트형 "LTE 넘어 5세대 통신으로", ITU 전권회의 부산 개최 내년 10월 부산에서 2014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가 열립니다. 'ITU 전권회의'가 다소 생소 하신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ITU는 국제연합(UN) 산하 정보통신을 담당하는 국제기구로, ITU 전권회의는 4년마다 열립니다. 회원국은 현재 193개국으로 이번 전권회의에는 193개국 장관과 글로벌 기업 인사 등 주요인사 3000여명이 부산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그러면 왜 ITU 전권회의가 중요할까요. 국제적인 정보통신기술(ICT) 정책 방향을 정하는 중요한 회의이기 때문입니다. 통신·전파분야에서 주파수 할당과 기술 표준 등의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회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1994년 일본에 26년 만에 두 번째로 한국에서 열립니다. 한국은 1950년 가입이 결정됐으나 한국 전쟁.. 더보기 응답하라 1994, IT로 바뀐 과거와 현재 모습 TV 드라마 에 이어 가 30~40대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저 때는 저랬지'라고 공감하는 사람들이 참 많죠. 잠시나마 옛 추억에 잠겨 20년 전에는 무슨 일이 있었나 회상해봅니다. 그리고 한 번 비교해봅니다. 스마트폰 시대와 모바일 기기라고는 워크맨이 대세였던 그 시절과의 차이는 무엇이고 얼마나 바뀌었나. 과연 그 변화가 우리의 삶을 얼마나 바꾸었을까요? 이쯤에서 1994년과 2013년, 정확하게 강산이 두 번 바뀌는 동안 얼마나 달라졌는지 보겠습니다. 1. 대중교통 결제 1994년에는 지금처럼 교통카드가 없었습니다. 노란색 종이에 가운데 마그네틱 처리된 티켓을 사용했죠. 버스는 현금만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학생들은 '회수권', '승차권'이 따로 있었던 시절이죠. 2013년에는 스마트폰의 유심(.. 더보기 스마트폰 음성인식 S보이스, Q보이스 써보셨어요?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 불편하고 이를 없앨 만한 이유가 있어야 새로운 것을 만든다는 뜻입니다. 인간의 생활을 완전히 바꾸고 있는 스마트폰 역시 그렇고 여기에서 더 나아가 더 편리한 사용을 위해 여러 가지 기술을 도입하고 있죠. 특히 음성 인식과 이를 이용한 음성 명령 기능은 터치나 키보드가 아닌 목소리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사실 스마트폰 이전에도 음성 인식 기능은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1997년 배우 안성기 씨가 광고한 삼성전자 애니콜 'SCH-370' 모델은 음성 다이얼 기능을 소개하는 내용이었죠. 이때는 단지 음성 다이얼 기능뿐이었다는 것에서 지금의 음성 명령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은 단순히 다이얼링뿐 아니라 앱 실행이나 검색까지 가능하니까요. 스마트.. 더보기 스마트 액세서리, 스마트 팔찌가 뜬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는 말은 들어보셨나요? 구글이 만든 '구글 글래스'를 시작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들려오는데요. 오늘은 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될 제품 하나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 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는 것은 '입는 PC'를 말합니다. '그 무거운 PC를 어떻게 입지?'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겠는데요. 여기에는 두 가지 편견이 있습니다. PC라 하면 '네모 반듯한 케이스 안에 CPU, 그래픽카드, 메모리를 넣고 모니터로 화면을 출력해 주는 장치'라는 것과 '입는다'는 것을 일반 옷처럼 몸에 걸친다는 것입니다. PC는 개인용 컴퓨터라는 뜻이며 컴퓨터(Computer)라는 것도 계산기라는 말입니다. '계산'의 목적이 무엇이고 어떻게 보여주느냐는 정의되어 있지.. 더보기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이라는 이름이 탄생한 비화는? LTE는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의 약자입니다. 3세대 이동통신(WCMA)의 후속 진화 기술로 차세대 통신 기술을 뜻합니다. 지금은 LTE라는 이름이 익숙해졌지만 초기에 LTE라는 단어가 나왔을 때는 롱텀에볼루션이라는 뜻의 이 단어가 다들 너무 이름이 어렵고 길다며 불평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 단어는 단순히 그전에 사용하던 방식이 숏텀에볼루션이라서 4G는 롱텀에볼루션이라고 하자고 해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3세대의 WCDMA기술은 원래 CDMA기술을 계속 발전시키는 것이 기본 트랙입니다. 3GPP라는 표준화 단체에서 WCDMA를 진화시켜 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WCDMA 발전하는 게 숏텀 에볼루션 트랙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광대역(브로드밴드) 무선 접속 장비의 호환성을.. 더보기 3D 프린터 가격과 현재 기술에 대해 3D 프린터는 기존 프린터처럼 종이에 글자나 그림을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3D 형태로 물체를 만들 수 있는 기계를 말합니다. 3D 프린터에 대한 소식은 몇 차례에 걸쳐 단신으로 소개해드린 적이 있습니다. > 2013/05/10 - U+ Weekly IT News (2013. 5. 6 ~5. 10) > 2013/05/23 - 국내 최대 IT 전시회, 월드 IT 쇼 2013 (WIS 2013)을 가다 > 2013/07/12 - 7월 2주 Weekly IT News - 옵티머스G2 디자인 유출 / 갤럭시S4 미니 가격 > 2013/08/16 - 8월 3주 Weekly IT News - iOS7 출시일 / 윈도우8.1 출시일 소식 3D 프린터로 권총을 만들어 미 의회가 이에 대해 제재를 한다는 뉴스도 나왔고 실.. 더보기 LTE의 진화는 언제까지? 이동통신사의 롱텀에볼루션(LTE)경쟁이 한동안 잠잠한가 싶더니 또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LTE에서 LTE-A(롱텀에볼루션 어드벤스드), 광대역 LTE로 넘어가더니 이제는 이통3사들이 광대역 LTE와 LTE-A를 이어 붙이는 기술을 내년 안에 선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LTE의 최고 속도는 이론상 75Mbps입니다. 주파수 2개를 묶어서 속도를 높인 LTE-A는 최대 속도가 이보다 2배 빠른 150Mbps입니다. 광대역 LTE의 경우는 폰에 따라 속도가 다릅니다. LTE폰은 100Mbps, LTE-A폰은 150Mbps의 속도를 냅니다. 광대역 LTE나 LTE-A 모두 150Mbps의 속도를 내지만 광대역 LTE는 LTE-A와는 달리 주파수 1개만을 가지고 속도를 내기 때문에 좀 더 안정감.. 더보기 온라인 화폐, 비트코인 소개와 비트코인 사용법 각 나라에는 화폐 단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원화를 사용하고 미국에서는 달러가 통용되고 있죠. 그리고 온라인에서는 '비트 코인'이라는 것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비트 코인이란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가상 화폐입니다. 아직은 모든 거래에서 사용할 정도로 널리 퍼져있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 IT 관련 뉴스에서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비트코인을 법정 화폐로 등록하고 이웃 나라 중국의 가장 큰 포털사이트인 '바이두'에서도 비트코인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했답니다. 가상화폐이지만 현금으로 사고파는 것이 가능해 대학 등록금을 비트코인으로 받는 곳까지 생겨날 정도입니다. 이 비트코인이라는 것은 누가 만들었을까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사람이 처음 만들어 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언뜻 보.. 더보기 이전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