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TE 타임] 한겨레 이순혁 기자 기고글

 

“산업팀에서 통신이랑 IT를 맡길까 하는데 어때?”
“네~? 뭐라고요? 그게 저….” (5초간 침묵) “그러죠 뭐.”

 

지난 5월 경제부 산업팀으로 발령난 직후 데스크와의 전화통화 내용이다. 사실 10년 남짓 기자 생활 대부분을 군, 검찰, 경찰 등 하드(?)한 출입처에서 보낸지라 인사 때 산업팀을 지망했지만, IT 쪽을 담당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내 생김새를 보면 금세 이해하겠지만) 생김새는 물론 평소 관심사나 삶의 스타일 상 IT와는 워낙에 거리가 멀었기 때문이다. 회사 선•후배들도 나를 두고 ‘어떻게 IT를 맡겼는지 이해가 안 된다’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출입하기 시작한 지 며칠 안 돼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받은 보도자료를 받았던 기억이 생생하다. ‘IP TV 가입자 500만 명 돌파’란 제목의 보도자료, 난 고민에 빠져들었다. ‘IP TV가 뭐지???’ 결국, 인터넷을 검색해보고 나서야 동생네 집에서 봤던 ‘U+ TV’ 같은 것을 가리키는 말임을 알게 됐다.

 

그즈음 통신 분야에서의 화두는 LTE였다. 마찬가지로 ‘왜 이 바닥은 다 이상하고 어려운 용어만 쓰지?’라고 투덜거리며, 인터넷을 검색해봤더랬다. 오랫 동안(Long Term) 진화한(Evolution) 기술이라는데, 사실 좀 웃겼다. 경제계 수많은 기술 분야에서 오랫동안 진화한 기술이 어디 한두 가지겠는가? 특별한 혁신이 아니면 대부분 기술은 진화한 것일 수밖에 없는데, 자기 혼자 유별나게 오래 진화한 기술이라며 이름을 붙이다니 원~.

 

 

그 이후로도 공부는 계속됐다. VoIP와 mVoIP, 클라우드, 사물 이동통신, 빅데이터, NFC…. 얼마 전엔 방송 쪽 자료에서 VOD 건수가 어떻다는 둥 하는 걸 봤는데 알듯 말 듯 하면서도 정확히는 잘 모르겠더란 말씀. 결국, 검색을 해보고서야 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임을 알게 됐다.


 

 

그렇게 공부(?)를 짬짬이 하며 보내던 중, 얼마 전 한 선배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통신이랑 IT 담당이지? 뭐 좀 하나 물어보자. 휴대전화를 바꿔야 하는데, 누구는 LTE를 하라고 하고, 또 누구는 4G가 좋다고 하던데 뭘 해야 좋을까?”
“선배 너무 무식한 거 아녜요. LTE가 4G란 말예요. 이런 쯧쯧….”

 

한겨레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